약 성분과 효과 및 부작용

일상생활 / / 2020. 8. 17. 15:31
반응형

 

 

Introduction

우리들은 일상생활 도중 몸이 아프면 병원을 내원하여 약을 처방받습니다. 어떤 약을 처방받는지 의사를 통해서 자세한 설명을 듣고 있으며, 약국에서 약을 구입할 때에도 약사에게 약의 효능 및 부작용을 듣습니다. 그리고 예전과 달리 현재 약국에서 약을 구입하고 나면 약의 효능 및 부작용에 대한 내용이 있는 종이를 따로 받기도 합니다. 하지만 의료계에 종사하는 사람이 아니거나 약에 대해 관심이 없는 일반인들은 병원 및 약국에서 들었던 약의 효능 및 부작용에 대한 내용을 종종 잊어먹곤 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약 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그 성분의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생제

항생제는 세균이 자신의 생존을 위해 주변에 있는 세균들의 성장을 저해시키는 현상을 통해서 발견되었으며, 현재 항생제는 penicillin, cephalosporin, amino glycoside, tetracycline으로 4가지의 계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가지 계열은 각각 사용하는 용도가 다르며, 구성 성분이 다릅니다.

 

● penicillin 계열

  • Amoxicillin(아목시실린)은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여 항생효과를 일으키는 반합성 항생물질입니다. 상기도 감염증에 주로 사용되며, 편도에 효과적입니다.
  • Augmentin(오그멘틴)은 Amoxicillin과 clavalanic acid를 2:1의 비율로 섞어서 만든 복합제제입니다. Amoxicillin은 베타-락타 메이스를 생성하는 세균에게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만들어진 항생제로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항생제 중 하나입니다. 

 

● cephalosporin 계열

  • 1세대: cephradin(세프라딘)과 cefazolin(세파졸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cephradin은 광범위한 항생제로 경구투여 되는 항생제입니다. 그리고 cefazolin은 봉와직염에 효과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정맥주사를 통해서 투여되는 항생제입니다.
  • 2세대: cefaclor(세파클러)는 세균에 의해 폐조직에 염증이 발생되어 기침, 가래,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폐렴(pneumonia)에 효과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경구투여되는 항생제입니다.

 

● amino glycoside 계열

  • gentamicin(겐타마이신)은 여러 병원균의 감염에 의해 발생되는 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광범위한 항생물질입니다. gentamicin은 주로 근육 주사, 정맥 주사를 통해서 투여되고 있는 항생제입니다.

 

● tetracycline 계열

  • tetracycline(테트라사이클린), doxycycline(독시사이클린)이 있으며 주로 성병(임질), 여드름을 치료할 때 사용되는 항생제입니다. doxycycline(독시사이클린)은 우유, 제산제, 철분제와 함께 복용되면 효과가 없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항생제를 복용할 때에는 완전히 치료될 때까지 복용하여야 합니다.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항생제를 중간에 끊어버리면 해당 항생제에 면역이 생긴 세균이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몸에 침입한 세균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항생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항생제를 과다하게 오남용 하면 항생제에 면역이 있는 슈퍼박테리아가 발생될 수 있으니 처방받은 항생제를 처방받은 양만큼만 복용하여야 합니다.

 

 

NSAID

NSAID는 해열진통제로, NSAID 계열 약물은 소염, 진통, 해열에 효과적입니다.

NSAID 계열에는 acetaminopen(아세트아미노펜), ibuprofen(부루펜), mefenamic acid(폰탈, 폰스텔), piroxicam(피록시캄), aceclofenac(아세클로페낙), diclofenac(디페인), indomethancin(메타겔) 등등의 해열진통 물질들이 있습니다.

 

  • acetaminopen(아세트아미노펜): 진통, 해열 작용이 있으나, 소염작용이 없는 해열진통제입니다. 과량시 간독성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으며, 두통 및 해열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세트아미노펜은 경구투여 되고있는 해열진통제 입니다.
  • ibuprofen(부루펜): 소염, 진통, 해열 작용이 있는 해열진통제입니다. 부작용인 위장장애가 적은것이 특징이며, 경구투여 되고있는 해열진통제 입니다.
  • mefenamic acid(폰탈, 폰스텔): 소염, 진통, 해열 작용이 있는 해열진통제 입니다. 해열작용보다는 소염, 진통작용이 더 크며 부작용으로 위장장애를 유발합니다. 주로 치통과 치질일 경우에 사용됩니다.
  • piroxicam(피록시캄): 소염, 진통, 해열 작용이 있는 해열진통제로, 부작용으로 위장장애가 심하기 때문에 하루에 2회 이상 투여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특히 염좌에 효과적이며, 경구 및 정맥주사로 투여되고 있습니다.
  • aceclofenac(아세클로페낙): 소염, 진통, 해열 작용이 있는 해열진통제로, 근골격계 중 근육통에 효과가 뛰어납니다. 경구투여되고 있는 해열진통제입니다.
  • diclofenac(디페인): 소염, 진통, 해열 작용이 있는 해열진통제로, 정맥주사로 투여되기 때문에 효과가 매우 빠릅니다. 부작용으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투여하기 전에 알레르기 검사를 통해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하고 투여해야 합니다.
  • indomethancin(메타겔): 소염, 진통, 해열 작용이 있는 해열진통제로, 해열보다는 소염, 진통작용이 더 큰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작용으로 위장장애가 심하기 때문에 주로 연고제로 극소 부위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비충혈(코막힘) 제거제

비충혈 제거제로는 pseudoephedrin(슈도에페드린)과 triprolidine(항 히스타민제)과 pseudoephedrin(비충혈 제거제)이 혼합된 액티피드, 액소도스 등등의 비충혈 제거제 물질들이 있습니다.

 

  • pseudoephedrin(슈도에페드린): 비충혈 제거제로 주로 코감기 약으로 사용하고 있는 물질로, 경구투여되고있는 비충혈 제거제입니다. 슈도에페드린은 교감신경의 흥분과 혈관이 수축되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혈압이 오르고 심장이 빨리뛰며, 식욕이 저하되고 불면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 triprolidine+pseudoephedrin(액티피드, 액소도스): 항히스타민제와 비충혈 제거제가 혼합된 비충혈 제거제로, 주로 코감기 약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경구투여 되고 있는 물질입니다. triprolidine은 항히스타민제이기 때문에 졸음이 유발되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triprolidine이 포함된 감기약을 복용하면 부작용으로 잠이 올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cetirizine(세티리진): 항히스타민제로, 주로 알러지성 비염 또는 피부염에 쓰이고 있는 항히스타민 물질로, 3세대 항히스타민제입니다. 세티리진은 항히스타민제이기 때문에 졸음이 유발되는 부작용이 있으나 3세대 물질이기 때문에 다른 항히스타민제와 비교하면 부작용이 적은 편입니다. 그리고 세티리진은 경구투여되고 있는 항히스타민제 입니다.

 

 

항히스타민제

항히스타민제는 크게 1세대, 2세대, 3세대로 세대별로 구분을 하고 있습니다. 졸음을 유발하는 부작용은 세대를 거치면서 많이 줄어들고 있으며, 면역반응에 관련된 히스타민을 억제하여 알레르기를 억제시켜 주기 때문에 알레르기 약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1세대: pheniramine(페니라민), hydroxyzine(히드록시진)이 1세대 항히스타민제입니다. pheniramine은 알레르기성 피부염, 비염에 효과적이며 경구 및 정맥주사를 통해서 투여되고 있는 물질입니다. 그리고 hydroxyzine은 알레르기성 피부염과 비염에도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불면증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경구를 통해서 투여되고 있는 항히스타민제 물질입니다.
  • 2세대: mequitazine(프리마란)은 1세대에 비해서 졸음 유발이 적은 편이며, 항히스타민제 이기 때문에 알레르기성 피부염과 비염에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경구를 통해서 투여되는 항히스타민제 물질입니다.
  • 3세대: cetirizine(세티리진), fexofenadine(알레그라) 또는 fexonadine은 3세대 항히스타민제입니다. 3세대 항히스타민제 이기 때문에 부작용인 졸음 유발이 제일 적으며, 알레르기성 피부염과 비염에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경구를 통해서 투여되고 있습니다.

 

 

진해거담제 및 기관지 확장제

진해제는 기침을 억제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거담제는 기도 분비액(가래)의 점성을 줄여주어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진해제와 거담제를 합쳐 진해거담제라고 부르고 있으며, 진해거담제는 기침을 억제하고 가래 배출을 잘하게 해주는 치료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기관지 확장제는 말 그대로 기관지를 확장시켜 주기 때문에 주로 천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진해제: 진해제에는 dextromethorphan 복합 시럽(코푸시럽), dihydro codeine 복합 정(코푸, 코데농)이 있습니다. 진해제 중 dextromethorphan 복합 시럽은 주로 기침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경구투여되고 있는 물질입니다. 그리고 dihydro codeine 복합 정도 주로 기침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나 소량의 마약성 성질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투여해야 합니다. 그리고 dhydro codeine은 경구를 통해서 투여되고 있습니다.
  • 거담제: 거담제에는 erdosteine(에르도스테인), bromhexine(브롬헥신), ambroxol(암브록솔)이 있으며, 주로 점액(가래)이 분비되는 것을 촉진시켜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경구를 통해서 투여되고 있습니다.
  • 기관지 확장제: 기관지 확장제에는 fenoterol(페노테롤), salbutamol(벤토린)이 있습니다. 기관지 확장제이기 때문에 주로 천식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기관지염에도 효과를 가지고 있는 물질입니다.

 

 

스테로이드제 

스테로이드제(steroid hormone)는 항염증과 항알레르기 물질로 광범위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작용기간이 길수록 효과가 좋은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부작용도 따라서 강해지기 때문에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부작용으로는 당뇨, 고혈압, 항체 형성 억제, 골다공증 등 다양하게 있기 때문에 오남용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여러 가지 부작용으로 인하여 주로 연고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short-acting: 단기간에 작용하는 스테로이드제는 hydrocortisone(코티손)이 있습니다. 연고제로 사용되며 주로 습진,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적입니다. 단기간에 작용하기 때문에 얼굴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 intermediate-acting: 단기간과 장기간 사이의 기간 동안 작용하는 스테로이드제에는 prednisolone(프레드니솔론)이 있습니다. 습진,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적이며 경구 또는 연고제를 통해서 투여되고 있습니다.
  • long-acting: 장기간 동안 작용하는 스테로이드제로 dexamethasone(덱사메타손)과 betamethasone(네오덤)이 있습니다. dexamethasone은 정맥 주사를 통해서 투여되는 스테로이드제로, 습진, 피부염에 효과적이며 강한 항염증, 항알레르기 물질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betamethasone은 연고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습진과 피부염에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장기간동안 작용하기 때문에 강한 항염증 또는 항알레르기 물질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소화기계 작용제

소화기계 작용제로는 중합 소화 효소제, 위장관 운동 촉진제, 위장관 운동 억제제, 지사제(설사약), 변비약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몇몇 물질들은 심한 부작용이 있기때문에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 중합소화 효소제: 중합소화 효소제에는 bearse(베아제), azintamide(아진탈)이 있으며, 소화효소 보급 및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 위장관 운동 촉진제: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는 metoclopramide(맥페란), domperidon(돔페리돈), levosulpiride(레보설피리드)가 있으며, 위장관 운동 촉진 및 구토를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 위장관 운동 억제제: 위장관 운동 억제제로는 trimebutine(트리메부틴), tiropramide(티램)이 있으며, 위장관 운동 억제 및 위경련을 완화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 지사제(설사약): 지사제로는 loperamide(로페린), smectite(스멕타), 락토엘이 있으며, loperamide와 smectite는 위장관 운동 억제 및 설사를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loperamide는 부작용으로 장폐색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의사와 상담하고 복용해야 합니다. 락토엘은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제품으로, 설사에 효과적입니다.
  • 변비약: 변비약으로는 차전자피와 센나 열매가 있습니다. 장운동 촉진으로 변비를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산제

제산제는 위산분비를 억제시키거나 위산을 중화 및 위점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일부 제산제는 부작용으로 설사를 유발하는데 이 부작용을 이용하여 변비약으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 cimetidine(CMT), ranitidine(라니티닌): 위산분비 억제제로 위염, 위궤양, 역류성 식도염에 효과적이며 경구투여되고 있는 물질들입니다.
  • aluminium magnesium silicate(노이겔): 제산제로 위산을 중화 및 위점막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물질입니다. 부작용인 변비와 설사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킨 제산제이며, 경구투여 되고 있습니다.
  • magnesium hydroxide(마그밀): 제산제로 위산을 중화 및 위점막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물질로, 부작용으로 설사를 유발합니다. 그리고 부작용을 이용하여 변비약으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경구를 통해서 투여하고 있습니다.
  • omeprazole(오메프라졸): 강력한 위산분비 억제제로 위염, 위궤양, 역류성 식도염에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경구를 통해서 투여하고 있습니다.

 

 

근육이완제

근육이완제는 biperiden(비페리덴), eperison(에드린)이 있으며, 근육의 경련성 질환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관절염, 근염, 염좌 등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연고제

연고제로 사용되는 물질들은 물질에 따라서 상처를 치유, 세균, 무좀균, 곰팡이균을 제거, 피부발진과 두드러기를 치료, 구순포진과 대상포진 등을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 상처 치유, 세균 제거에 사용되는 연고제: 항생제 연고로, fusidic acid연고(푸시딘산 나트륨)와 oxytetracycline연고(테라마이신 연고)가 있습니다.
  • 무좀균, 곰팡이균 제거에 사용되는 연고제: 항진균제 연고로, terbinafine연고(라미실 연고)가 있습니다.
  • 피부발진, 두드러기에 사용되는 연고제: 스테로이드제 연고로, prednicarbate연고(프레벨 연고), betamethasone연고(네오덤 연고)가 있습니다.
  • 구순포진, 대상포진에 사용되는 연고제: 항바이러스제 연고로, acyclover연고(아시클로버)가 있습니다.

 

 

점안액 사용 시 공통적인 주의점

우리는 눈에 병이 생기면 병원에서 점안액(안약)을 처방받습니다. 안약도 눈병에 따라서 구성성분이 다르며,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각양각색으로 있습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주의해야할 사항들이 있는데 주로 전염과 세균 감염에 대한 것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세균 감염의 우려로 인하여, 점안액을 눈에 직접 접촉하여 사용하면 안 됩니다.
  2. 전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른 사람과 같이 점안액을 공유하여 사용하면 안 됩니다.
  3. 세균 번식의 우려로 인하여, 점안액을 개봉하면 1개월 이내로 사용해야 합니다.

 

 

마무리

이번 시간에는 각종 약 성분과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과학이 점점 발달함에 따라 현재 여러 가지 약들이 나오고 있으며 약들마다 부작용이 가지각색입니다. 그리고 어떤 약들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복용해야 하며, 항생제의 경우 오남용을 하면 슈퍼박테리아를 발생시킬 수 있기때문에 병원에서 처방한대로 약을 복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같은 성분으로 되어있으나 제조사에 따라서 약의 이름만 다른 경우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