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다른사람에게 정보를 알리는 글들을보면 어떤글은 읽기편하고 내용이해가 쉬운반면에 어떤글은 읽기불편하고 다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내용이 정리가 되지않아 이해하기 힘들었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소설과 같은 장르의 글을 읽어보았을때는 어떤 경험을 해보셨나요? 대부분 한번만 읽어도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스토리, 메세지를 잘 캐치하고 머리속에 남아있는 경험들을 많이 해보셨을겁니다. 이런글들을 보면 대부분 기승전결을 잘 지켜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자신이 연구한 내용을 전달하는 논문을 보면 기승전결을 아주 잘지키고 있습니다. 정보전달글을 잘 작성하는 방법중에 하나가 기승전결로 작성하는것이며, 저도 정보를 전달하는글(제품리뷰, 가이드, 그외 기타 등등)을 작성할때 기승전결을 생각하면서 작성하고있고 지킬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기승전결이 어떤것인지 부터 알아봅시다.
기승전결의 정의 및 논문양식의 기승전결 적용방법
기승전결(起承轉結): 일어날 기, 이을 승, 구를 전, 맺을 결로 이루어진 한자성어로 이야기를 구성하는 방법을 의미하는데, 이야기의 시작 -> 전개 -> 전환 -> 끝으로 이야기를 구성하여 전달하는것을 기승전결 이라고 합니다. |
기승전결은 위와같이 이야기를 시작에서 ~ 끝으로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이와같은 이야기 전개방식은 소설, 논문 등과같이 내용을 전달하는 글에 많이 사용되는 이야기 구성방법입니다. 특히 저는 정보를 전달하는 글을 작성할때 기승전결이 적용된 논문양식을 최대한 따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만약 제품A에 대한 리뷰글을 작성한다고 가정해보고, 논문양식의 기승전결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글을 비교해봄으로써 기승전결의 적용방법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예시(논문양식의 기승전결이 적용되지 않은 글) 안녕하세요. 최근에 선물받은 B TV에 연결할 제품을 찾고 있었는데 도통 B TV를 지원할 제품이 없는거에요. 그런데 우연히 제품A를 찾아서 배달시켰는데, 오늘 제품A가 드디어 왔습니다. 그래서 리뷰를 시작할려고 하는데요, 제품A를 직접 사용해보니 예상한거보다 좋은거 같아요. 제품A는 이러이러한 사양을 가지고 있구요 특히 B TV에 연결이 되서 좋더라구요. 그런데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C TV에서의 연결이 불안정했어요. 그래도 가성비가 좋은편이고 생각보다 무게도 가벼워서 들고다니기에도 편하더라구요. 여러분들도 제품A를 사용해보세요. 꽤 괜찮은 제품같아요~ |
*예시(논문양식의 기승전결이 적용된 글) 1. 제품구입 동기 및 소개 최근에 선물받은 B TV에 연결할 제품을 찾다가 우연히 제품A를 찾게 되었습니다. 이 제품은 언제만들어졌으며 어떤용도를 지니고 있습니다. 2. 제품A 사양 이러이러한 사양 3. 장점 B TV에 연결을 지원, 좋은 가성비, 가벼운 무게로 인해 들고다닐 수 있습니다. 4. 단점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C TV의 연결이 불안정합니다. 5. 마무리 장점이 이러이러하고 단점은 이러이러 합니다. 사용해보니 예상보다 좋아서 여러분에게 추천할려고 합니다. |
위의 2개의 글을 비교해보면 어떤가요? 확실히 밑의 글이 제품A에 대한 장점, 단점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알려주고 있습니다. 예시로 든 글의 내용이 적다보니 두 글의 정보전달력에 차이점이 미비하다고 생각이 들수도 있지만 논문양식의 기승전결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많을수록 정보 전달력이 더 좋습니다. 그럼, 어떤방식으로 적용하는지 알아보기 전에 실제 논문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봅시다.
● 논문의 구성요소
논문은 기본적으로 8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1. Title(제목), 2. Abstract(초록), 3. 서론(Introduction), 4. 실험방법(Methods), 5. 결과(Results), 6. 고찰(Discussion), 7. 사사(Acknowledgement), 8. 참고문헌(References)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각의 구성요소가 의미하는 바는 아래와 같습니다.
- 제목: 논문의 제목으로, 알리고자 하는 전체내용을 내포하고 있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 초록: 논문의 전체내용을 요약한 부분입니다.
- 서론: 논문 주제의 기본적인 배경과 선행 논문 및 학술문헌이 기입되어 있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 실험방법: 어떻게 실험을 시행하였고, 실험 방법에 접근하였는지 기입되어 있는 부분입니다.
- 결과: 실험에서 얻은 데이터를 정리한 부분입니다.
- 고찰: 결과를 해석하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 이 결과가 앞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세웠던 가설이 맞았는지 등을 토론하는 부분입니다.
- 사사: 논문의 저자들 이외에 참여한 기관이나 사람 등을 기입하는 부분입니다.
- 참고문헌: 논문에 인용한 선행 논문 및 학술문헌등을 기입하는 부분입니다.
논문은 위의 8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럼 각각의 요소들이 블로그글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봅시다.
● 논문양식 기승전결 적용방법
- 제목: 블로그 글의 제목입니다. 논문처럼 블로그 글 전체내용을 포함하는 단어를 쓰는것이 좋습니다.
- 초록+서론: 블로그 주제의 기본적인 배경지식 및 글 진행방향에 대하여 작성하면 됩니다.
- 실험방법+결과: 블로그 글 주제의 본문입니다.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작성하면 됩니다.
- 결과+고찰: 블로그 글에서 마무리 단계입니다. 전달하는 내용을 요약하고 마무리를 하면 됩니다.
- 사사+참고문헌: 글 작성시, 참고한 자료에대한 출처입니다. 글 끝에 추가하셔도 좋고 글 중간중간에 넣으셔도 크게 상관은 없습니다.(예: 첨가한 사진의 자료출처를 사진 바로밑에 기입한 경우) 출처를 남기는것이 중요합니다.
기타
논문양식의 기승전결 방법 이외에도 블로그 글을 작성할때 본문에 적절한 자료를 첨부(사진, 영상, 본문에 도움이 되는 인터넷 홈페이지 링크, 파일 등등), 본문에 적절한 키워드 사용, 소제목을 사용하여 블로그 글의 가독성을 높이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마무리
제가 주로사용하고 있는 논문양식 기승전결을 이용하여 블로그 글쓰는 방법을 알아 보았습니다. 이외에도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는데, 핵심내용을 간추려서 전체 정보를 한눈에 볼수있도록 전달하는 방법이나, 단순 일기형식으로 있었던 일에대하여 열거하는 방법, 독자와 대화하는 형식으로 흥미를 유발시켜 자연스럽게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 등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글을 작성하다 보니, 저의 생각을 다른사람에게 전달하는게 쉬운작업이 아닌것이라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글쓰기는 꾸준한 연습만이 답인거 같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마우스 우클릭, 드래그 방지하는 방법 (1) | 2020.08.02 |
---|---|
컴퓨터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 3DP Chip (0) | 2020.07.23 |
티스토리 포트폴리오(portfolio) 스킨에 브레드크럼 적용하는 방법(itemListElement 오류해결방법) (4) | 2020.07.09 |
아이폰 미러링(화면공유) 프로그램: 에어서버(airserver) (2) | 2020.07.08 |
파워포인트(PPT) 모핑 응용하기 2부: 모자이크 장면전환 효과 (0) | 2020.07.06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