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오염된 피 사건으로 보는 코로나 사태

Game / / 2020. 8. 16. 17:16
반응형

Introduction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2004년 11월 23일 미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한국에는 2005년 1월 28일에 처음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글을 작성하고 있는 현재(2020년 8월 16일)까지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곧 출시된 지 16년이 되어가는 역사가 깊은 온라인 게임입니다. 역사가 깊은 만큼 수많은 사건들이 있는데 이번 시간에는 많은 사건들 중 오염된 피 사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오염된 피 사건은 의학 논문자료에 사용될 정도로 유명한 사건으로 전염병의 확산에 대해서 잘 설명하고 있는 사건입니다. 그리고 현재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사태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오염된 피 사건과 매우 유사해서 다시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오염된 피 사건과 코로나 사태가 어떤 점이 비슷한지 알아보기 이전에 먼저 오염된 피 사건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오염된 피 사건

오염된 피 사건은 2005년 9월 13일에 발생된 사건으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오리지널 시기에 발생된 사건 입니다. 오리지널 시기에 공개된 레이드 공격대(많은 사람들과 파티를 맺어 던전을 클리어하는 콘텐츠) 중 줄구룹에서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줄구룹의 보스 중 마지막 보스인 학카르는 유저에게 오염된 피 스킬을 사용하였는데, 이 스킬은 매 2초마다 200의 대미지를 주었으며, 주변 유저들에게 전염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줄구룹의 마지막 보스인 학카르, 오염된 피 스킬을 사용합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여러가지 직업이 있는데 그중 사냥꾼은 펫(사냥꾼이 길들인 야수로, 현실에서는 사냥개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과 함께 적과 싸울 수 있는 직업으로 PVE, PVP 콘텐츠에서 많은 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사냥꾼은 전투 도중 펫을 소환하거나 또는 소환 해제를 할 수 있는데 한 유저가 오염된 피 스킬이 걸려있던 펫을 소환 해제한 상태로 마지막 보스인 학카르를 처치하였습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파티가 전멸하거나 보스를 클리어하면 적이 유저들에게 사용했던 디버프나 대미지를 받는 스킬 효과들이 사라지도록 설계가 되어있기 때문에 마지막 보스인 학카르가 사용한 오염된 피 스킬 효과가 사라져야 정상이었으나 전투 도중 소환이 해제된 펫에게 걸려있던 오염된 피 스킬은 사라지지 않는 버그가 발생되었습니다. 이 사실을 몰랐던 사냥꾼 유저는 대도시(각 진영의 수도로 대한민국의 서울과 비슷한 지역)로 귀환하고 오염된 피가 감염된 펫을 소환하였습니다. 사람이 많았던 대도시에서 감염된 펫이 소환되었기 때문에 순식간에 수많은 유저들이 오염된 피에 감염되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오염된 피로 인하여 사망한 유저들

오염된 피는 감염된 유저들이 다른 대도시로 이동하면서 점점 퍼지기 시작하였고 다른 대도시에 있던 유저들도 감염되어 계속 사망하는 현상이 지속되었습니다. 게임내의 유저들은 사망하면 다시 부활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동안 이동을 통제하면 오염된 피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NPC에게까지 전염되어 오염된 피는 계속 지속되었습니다. NPC들은 유저들과 달리 체력 회복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오염된 피로 죽지 않았고 결국 NPC들은 오염된 피의 보균자의 역할을 하게 되어 유저들이 다시 부활해도 또다시 오염된 피에 감염되어 계속 죽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그리고 게임 내의 사건에 개입을 잘하지 않는 블리자드도 이 사건의 심각성을 인지하였는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관리자가 직접 개입하여 오염된 피 사건을 마무리해주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에게 관심받은 오염된 피 사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오염된 피 사건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았습니다. 비록 게임 내에서 발생된 사건이었지만 실제 전염병이 확산되는 상황과 비슷하였고 오염된 피 사건 당시에 게임내에 있던 유저들의 행동이 실제 전염병이 발생되었을 때 사람들이 취하는 행동과 매우 유사했기 때문입니다.

 

오염된 피에 감염된 일부 유저들은 일부로 다른 대도시로 이동하여 오염된 피를 전염시키는가 하면, 자신들이 있는 대도시에 전염병이 발생되었으니 오지 말라고 알리는 유저들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려고 아무도 모르는 곳에서 조용히 죽는 유저들도 있었고, 자신을 희생하여 다른 사람들을 치료하는 유저들도 있었으며, 오염된 피를 치료할 수 있다는 가짜 치료제를 사람들에게 판매하는 유저들도 있었습니다.

 

위와 같이 오염된 피 사건은 전염병이 발생되었을 때 일어나는 현실상황과 매우 비슷하였기 때문에 오염된 피 사건은 이례적으로 언론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었으며, 이에 관련된 수많은 논문이 나오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오염된 피 사건과 현재 코로나 사태와의 유사점

2005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 일어났던 오염된 피 사건과 현재 코로나 사태를 살펴보면 매우 비슷한 점들이 많습니다. 먼저 전염병이 확산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코로나와 같이 보균자가 있으며, 유저들 간의 감염이 발생되며 유저들로 인하여 다른 장소에 전염이 일어난다는 점이 같습니다.

 

전염병 전염범위, 오염된 피 전염과 매우 유사합니다.

전염병은 위와 같이 감염범위가 있으며, 감염범위에 있는 사람은 감염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염된 피의 경우에는 보균자는 최초 보균자인 펫 또는 전염된 NPC, 전염된 유저로 볼 수 있으며, 감염범위는 오염된 피가 전염되는 범위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코로나의 경우에는 보균자는 코로나에 전염된 사람으로 볼 수 있으며, 감염범위는 코로나에 걸린 사람이 기침으로 인하여 비말이 비산 되는 범위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염된 피 사건 때 게임 속 유저들의 행동들이 현재 진행중인 코로나 상황 속 사람들이 행하는 행동들과 매우 유사합니다. 코로나에 걸린 사람들 중 일부 사람들은 자포자기 심정으로 도로로 뛰어나가 지나가는 차량에 매달려 코로나를 전염시킬려고 시도를 하였고, 격리도중 답답하다는 이유만으로 규칙을 지키지않고 외출을 하여 코로나 전염 가능성을 발생시키는 행동은 오염된 피의 사건때 일부 게임속 유저들이 일부러 다른 도시로 이동하여 전염시키는 행동과 같습니다.

 

그리고 코로나 예방에 도움이 되는 제품인지 제대로 검증도 안 된 제품들을 과장 광고하여 판매하는 기업 또는 사람들이 있다는 점과 자신이 코로나에 걸릴 수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가 심한 지역으로 자진해서 이동하여 마스크를 직접 나누어주는 연예인, 불철주야로 코로나에 걸린 사람을 치료하는 의료인들과 이를 도와주는 자원 봉사자들의 행동은 오염된 피의 사건 때 자신을 희생하여 오염된 피를 치료하는 행동과 같습니다.

 

위와 같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 발생한 오염된 피의 사건은 현재 발생한 코로나 사태와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염된 피 사건과 현재 코로나 사태와의 차이점

오염된 피 사건과 현재 코로나 사태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발생한 장소가 오염된 피 사건은 가상세계에서 발생되었으며, 코로나는 현실세계에서 발생되었다는 것입니다. 오염된 피 사건의 경우에는 가상세계이기 때문에 관리자가 손쉽게 해결할 수 있었지만 코로나는 전 세계에서 진행 중인 상황이기 때문에 손쉽게 해결을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전염병인 코로나는 철저한 관리가 필수 불가결인데, 전 세계 사람들을 관리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코로나 사태를 빠르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되도록 모임을 자제하고, 의심증상이 있으면 병원을 내원하고 자체 격리를 하는 등 코로나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정리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 발생한 오염된 피 사건과 현재 코로나 사태와 유사한 점과 차이점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유사한 점

  • 오염된 피와 코로나의 전염경로가 비슷합니다.
  • 오염된 피의 사건 때 게임 내의 유저들의 행동과 현재 코로나 상황 속 사람들이 취하는 행동과 비슷합니다.

 

● 차이점

  • 발생된 장소가 오염된 피 사건은 가상세계이며, 코로나는 현실세계이기 때문에 가상세계와 달리 현실세계에서는 사람들을 관리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마무리

이번에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오염된 피 사건과 현재 코로나 사태와 비교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오염된 피 사건은 코로나뿐만 아니라 다른 전염병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비록 게임 속에 발생한 사건이지만 현실세계에서 일어나는 전염병 사태와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졌던 사건이었으며, 게임이 단순히 재미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이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다시 코로나 확진이 급증하였기 때문에 코로나 안전수칙을 준수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